의경 지원방법 알아보기
요즘 군복무를 대신할곳 많이 찾죠? 아마도 현역병으로 입대를 한다면 산꼴짜기에서 근무하는분들이 태반이니까 이를 좀 회피하고자 하는분들이 많이들 찾는 차선책이 바로 의경지원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의경 지원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지원을 한다고 모두가 갈 수 있는게 아니기 때문인데요. 지금부터 의경은 어떤분들이 갈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지원하는지 알아보도록 할께요.
의경 지원방법에 대해 오늘 소개드리도록 할텐데요.
많은분들이 입대를 앞두시면 참 고민이 많이 될거에요.
아무리그래도 의경이 군을 대신한다하더라도 분위기가 다르기때문이겠죠?
아무래도 도심에서 활동을 하니 말이죠.
그럼 바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의경에는 종류가 3가지가 있는데요.
일반, 특기, 독도경비대까지 3가지 종류가 보입니다.
그럼 가장 일반적인 일반의경에대해 지원 어떻게 하는지 알아볼꼐요.
의무경찰은 수시로 모집을 하는데요.
일반지원의 경우 지원시첨으로부터 5~6개월 후 입영되며
특기요원의 경우 지원시점으로부터 3~6개월 후 입영된다고 합니다.
의무경찰의 근무처는 기동대, 전경대, 방범순찰대, 검문소,
국회 및 정부청사 경비대, 공항기동대, 관광경찰대등이 있으며
모집기간은 전월 21일 ~ 당월 20일까지 1년 365일 매일매일이라 합니다.
접수는 일반의경, 특기의경, 독도경비대 등 모두 의무경찰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접수가 되겠습니다.
또한 18세 이상 30세 이하의 병역을 필하지 않은 대한민국 남자 중 제1국민에
해당하는 자로써 위의 사항들을 해당한다면 지원이 불가하다 합니다.
의무경찰의 선발과정을 보게되면
체중이나 키는 제 1국민이며 현역병 3등급 이상이면 되겠습니다.
시력은 교정시력포함 0.8이상이며, 색맹이 아니여야 합니다.
청력은 완전한자 그리고 혈압은 145/90초과 또는 90/60미만이 아닌자여야 가능합니다.
이렇게 오늘 의경 지원방법에 대해 소개를 드려보았습니다.
많은분들 관심가지는만큼 자세히 알려드렸네요 ~
이상해 여기까지 오늘의 포스팅을 모두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